5622)다이얼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5622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입력을 살펴보자. 입력이 UNUCIC 이고 출력이 36이다 어떻게 해서 36이 나왔을까? 할머니는 숫자를 문자로 기억한다고 했다. 할머니가 기억하는 문자는 위 그림처럼 다이얼 숫자 밑에 있는 문자들을 말한다. 즉 A,B,C가 입력되면 3초를 세어야하고 D,E,F가 입력되면 4초를 세어야 한다. 몇 개만 훑어 보면 규칙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. A,B,C 0+3D,E,F 1+3G,H,I 2+3J,K,L 3+3... 그러니까 A부터 순차적으로 0을 포함한 자연수와 대응시켜가면 규칙이 보인다. 0,1,2 03,4,5 16,7,8 2... 즉 A,B,C에 대응되는 수를 3으로 나눈 몫과 시간이 어떤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...
1065)한수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65 임의의 자연수에서 각 자리의 수가 등차수열을 이루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. 쉽게 말해서 각 자리 수의 차이가 같으면 한 수이고 하나라도 다르면 한수가 아니다. 주어진 예제를 좀 더 분석해보자. 입력이 110일 때 출력이 99이다.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? 우선 100~110이 한수인지 여부를 알아봐야 한다. 100, 101, 102, 103, 104, 105, 106, 107, 108, 109, 110 공교롭게도 100~110은 한수가 아니다. 다시 말해 1~99는 한수라는 뜻이다. N보다 작은 한수를 세기 위해 1~99까지 수는 셀 필요가 없다. N이 100보다 작고 100보다 작은 수는 한수이기 때문에 N이 곧 한수의 갯수가 될 것이고..